태안 피해주민의 아픔 알자

2008-01-21     충청신문/ 기자
태안 앞 바다 기름유출 사고로 생계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이 연이어 삶을 포기하고 있어 아픔이 깊어져만 가고 있다. “주민들의 주머니속에는 천원짜리 한장 조차 없다”는 한 주민들의 말처럼 삶에 대해 절규하는 태안의 피해 주민들은 시커멓게 탄 속을 추수르지 못하고 있다.

태안에서 횟집을 운영하던 주민이 또 몸에 시너를 뿌리고 분신했다 병원으로 옮겨 치료받던 중 숨졌다. 기름 유출사고 이후 지난 10일에는 굴 양식장을 운영하던 어민이 자살했고, 15일엔 바지락을 캐 생계를 꾸려가던 노인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등 삶을 포기하는 피해 주민이 늘어 또 다른 충격을 주고 있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뒤늦게나마 정부가 생계지원금 300억원과 국민 성금 258억원 등 558억원을 피해지역인 태안군 등 6개 시·군에 내주기로 충남도가 20일 결정했다. 이렇게 주민들이 험악하게 된 분위기를 이제야 알았는지 몰랐는지 파악조차 못한 당국에 피해 주민들은 원망스러워만 했다.

기름유출 사고가 난지 21일로 꼭 한달 보름인 46일이 지났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300억원의 생계지원금을 충남도에 보냈고 그간 모인 성금 300억원도 확보된 상태다. 충남도는 피해 보상금을 어떤 기준으로 배분할 것인지에 대해 정하지 못해 지급이 늦어 졌다는 말이다. 피해 지역인 태안 등 6개 시·군이 보상금 배분 비율을 둘러싸고 잡음이 있었다면 기가 찰 일이다.

연일 보도되는 현지 주민들 중 5만 가구에 이르는 피해자들은 당장 하루하루 생계를 이어가기에 숨가쁜 상황이여 답답할 뿐이라고 한다. 태안 어민들은 바다에 나가 고기를 잡을 수도 없고 바다가의 상인들은 내다 팔 해산물조차 없고 게다가 이곳을 찾아주는 손님마져도 끊긴 삭막한 어촌이 돼 버렸다.

피해 주민들은 자원봉사자와 함께 추운 겨울 해변에서 잃어버린 삶의 터전을 되찾기 위해 하루 종일 모래와 바위에 낀 기름만 닦아 내고 있었으나 당국은 피해 주민이 잇달아 숨질 때까지 무심했다. 정부가 기름 유출사고 후 재난사태를 선포하고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하는 등 법석을 떨었지만 피해 주민들에 대한 생존권 유지에는 별 도움이 주지 못했다.

한달 보름이 지나도록 보상금을 움켜지고 방제비용이 어떠니, 피해보상금이 어떠니 하는 교통정리가 안돼 지출이 묶이고 피해 기준 타령만하는 사이에 시커멓게 타들어간 피해 주민들의 고귀한 생명만 잃게했다. 좀 더 성의 있고 진지한 합의를 빨리 끌어낼 수 있는 토론만 있었더라도 이 지경까지는 안됐을 것이다.

대략적 기준으로 나눠주고 나중에 원칙에 따른 배정을 했어도 될 일을 질질 끌은 탓이 원인이 됐다. 공무원들이 피해 주민들에게 많은 손해 배상을 받아 주려고 사진을 찍어 두고, 돈을 먼저 주면 나중에 국제기구로부터 돈을 덜 받아 내기 위해 최선을 다 하려다 지급이 늦은 것은 이해가 된다.

어쨋든 이번 사태를 잘 수습하는 것이 피해 주민에 대한 의무임은 물론 전국에서 몰려들고 있는 100만여 자원봉사자들의 정성에 보답하는 일이다. 아무튼 유류오염으로 졸지에 생계 터전을 잃고 망연자실해 있는 피해 주민들의 아픔을 덜어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