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상용 양자컴퓨터 유치…'대한민국 양자허브' 도약 가속
KISTI, 정부 양자컴퓨팅 구축사업 주관기관 선정
[충청신문=대전] 하서영 기자 = 대전이 상용 양자컴퓨터 설치지로 확정되며 '대한민국 양자기술 허브'로서의 입지를 다시 한 번 각인시켰다.
대전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양자컴퓨팅 서비스 및 활용체계 구축사업'의 주관기관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대전 본원)이 최종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상용 양자컴퓨터가 내년까지 대전 KISTI 본원에 구축된다.
이 사업은 양자컴퓨팅 상용화 기반 조성과 슈퍼컴퓨팅과의 하이브리드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 국가 핵심 R&D 과제로 총 482억원 규모의 국비가 오는 2028년까지 투입된다.
설치될 장비는 미국 양자컴퓨팅 선도 기업 ‘아이온큐(IONQ)’의 최신 모델 ‘템포’로 100큐비트급 고성능을 자랑한다. 이온트랩 방식의 이 장비는 높은 연산 안정성과 정밀성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KISTI의 국가슈퍼컴퓨터 6호기와 연계해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번 도입은 정부가 물리적 양자컴퓨터를 직접 확보하는 첫 사례로 연구개발을 넘어 산업 현장 활용까지 염두에 둔 전략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시는 이번 유치를 계기로 양자 기술의 주요 전략 자산이 대전에 빠르게 집결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최근 2년간 대전은 양자대학원, 양자팹, 테스트베드, 국제협력센터, 퀀텀 플랫폼 등 다수의 핵심 양자 사업을 연이어 유치하며 강력한 생태계를 구축 중이다.
이장우 시장은 “양자컴퓨팅은 글로벌 기술 패권의 핵심이며 이번 사업은 미래를 선도할 전략적 기반”이라며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연구개발, 산업화, 인재양성까지 아우르는 양자 생태계를 조성해 대전을 ‘대한민국 양자수도’로 키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