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마늘 명품화 사업, '종구 논란'에 갈등 심화…농가 "불공정 심사"
2025-09-02 정연환 기자
단양마늘연구회는 2일 오전 단양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군이 토종 한지형 마늘 대신 외래 품종인 ‘홍산’, ‘통통’, ‘다산’ 등을 보조사업 대상으로 포함시키면서 토종 마늘의 정체성이 위협받고 있다”고 토로했다.
연구회는 또 지리적표시제 관리권이 20년 넘게 특정 영농조합법인에 독점 위임돼 있다는 점과, 종구 전문 생산 농가 선정 과정의 공정성 부족도 강하게 문제 삼았다.
특히 지난해 종구 전문 농가 시범사업 심사에서 지원 농가 14곳 중 11곳이 탈락한 사실을 언급하며 “심사위원들이 ‘홍산마늘이 혼입됐다’는 주관적 의견만으로 탈락을 결정했다”며 공정성에 강한 의혹을 제기했다.
연구회는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돌연변이나 이형주는 자연 발생할 수 있다”며 “이를 무조건 외래 품종으로 단정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들은 △토종 단양마늘 외 품종에 대한 보조금 지원 제한 조례 제정 △마늘연구소의 타 지역 이전 반대 및 전수 감사 실시 등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단양군은 “단양 재래종의 순도와 품질 보존이 사업의 핵심 목표”라며 농가 측의 주장을 반박했다.
군은 “2024년 사업 신청 농가를 대상으로 1·2차에 걸쳐 엄정한 심사를 진행했고, 현장 조사 결과 일부 농가에서 단양 재래종과 다른 이형주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또한 “홍산으로 보인다는 발언은 일부 심사위원의 비공식적 의견이었고, 이후 정밀 조사 결과 실제로 타 품종이 혼입된 것이 확인돼 기준에 따라 탈락 처리했다”고 설명했다.
외부 전문가 분석도 군의 입장을 뒷받침했다.
권영석 지오텍 대표(농학박사)는 현장 점검 결과 “단양 재래종에 외래 품종이 혼입돼 있었고 잎 색깔과 형태, 바이러스 감염 증상 등에서도 차이가 뚜렷했다”고 분석했다.
군 내부 보고서 역시 “14곳 중 8곳에서 혼종이 발견됐으며, 마늘은 영양생식 작물이라 자연교잡이 불가능하므로 종구 관리 부주의가 주요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토종 종구의 안정적 공급과 품질 향상을 위해 앞으로도 엄격한 기준을 유지하겠다”며 “명품 단양마늘의 위상을 지키기 위한 사업에 지속적인 협조를 당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