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몰랐지] 차 안 생수, 그대로 마셨다간 큰일 나는 이유
2025-09-18 김미영 기자
여름철 차 안에 생수를 두는 일은 흔한 습관이다. 하지만 차량 내부 온도는 순식간에 50~70도까지 치솟고, 이때 플라스틱 생수병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유해물질이 물에 녹아들 수 있다.
뜨거운 환경에 두면 미세플라스틱은 물론 나노플라스틱까지 방출된다. 나노플라스틱은 크기가 작아 세포나 뇌까지 침투할 수 있어 더 우려된다. 플라스틱을 유연하게 만드는 프탈레이트 역시 호르몬 교란 물질로, 조기 사망 위험과 연관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국민 세 명 중 한 명은 매일 생수를 마신다. 환경부는 2027년부터 국제 기준에 맞는 안전 인증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당장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차 안 생수를 버리고, 텀블러나 아이스박스로 대체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 왜 위험할까?
→ 고온에 노출된 플라스틱에서 유해물질·미세플라스틱 방출
✔ 어떤 증상과 연결될까?
→ 두통, 위궤양, 암·난임, 심혈관 질환 등
✔ 안전하게 마시려면?
→ 냉장 보관, 텀블러 사용, 차 안 생수는 버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