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기초단체 공무원 1인당 주민수 315명 전국 최다

충남은 140명, 충북 141명…광역지자체 대전은 347명

2025-09-21     황천규 기자
▲ 대전시 전경 (충청신문DB)

[충청신문=대전] 황천규 기자 = 대전 기초단체 공무원 1인당 주민 수가 315명으로 전국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적은 전남 94명에 비해 3.4배 높은 수치다.

다음은 인천 303명, 대구 284명, 울산, 282명, 경기 276명, 광주 269명 순이다.

주민 수가 많으면 업무 과중으로 행정서비스 질이 떨어질 수 있어 대책이 요구된다.

충남은 140명, 충북은 141명이다.

21일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전국 지방공무원 정원은 총 38만 3195명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공무원 1인당 주민 수에는 최대 8.2배의 격차가 확인됐다.

광역단체 가운데 경기도는 공무원 1명당 주민 수가 887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서울(509명), 경남(468명), 인천(416명), 부산(392명), 대구(369명), 대전(347명)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기록해 공무원 1인당 업무 부담이 컸다.

충남, 충북은 각각 345명이다.

반면 제주(108명), 세종(153명)은 기초자치단체가 없어 낮은 수준을 보였고, 강원(220명), 전남(269명)은 비교적 여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단체에서도 불균형은 극명했다. 대전은 공무원 1명당 주민 수가 315명으로 전국 최고 수준을 보였고, 반대로 전남은 94명, 강원 100명, 경북 116명에 불과해 최대 3배 이상의 격차가 발생했다.

한병도 의원은 “공무원 1인당 주민 수는 주민이 체감하는 행정서비스의 질과 행정의 지속가능성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라며 “이 격차를 방치하면 대민 서비스 저하, 공무원 업무 과중, 국정과제 집행력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의 인구·재정 중심 정원 산정 기준은 한계가 분명하다”며 “고령화율, 복지 수요,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정밀한 정원 배분 기준을 마련하고, 탄력적 인력 배치 제도를 도입해야 지역 간 행정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