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떠나는 50대, 지방이 새 활력”…인구감소지역, 중장년층 유입 뚜렷
국회미래연구원 ‘인구감소지역의 새로운 기회 요인 탐색’ 보고서인구감소지역, 수도권 인접형·관광자원형 등 맞춤형 전략 필요
2025-11-10 김석쇠
청년층이 학업과 일자리를 찾아 광역시로 이동하는 반면, 중장년층은 은퇴 준비와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광역시에서 도 지역으로 이동하는 역방향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경북 영천시는 최근 3년간 청년층 2030명이 순유출된 반면 중장년층은 1380명이 순유입됐으며, 상주시도 청년층 1645명 순유출, 중장년층 1035명 순유입을 기록했다. 강원 홍천군 역시 청년층 922명 순유출과 대조적으로 중장년층 1140명이 순유입됐다.
중장년층의 전입 사유는 ‘주택’이 50% 이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직업’이 뒤를 이었다. 특히 50대 초·중반(50~59세)에서는 직업 요인을 전입 이유로 꼽은 비율이 40%를 넘었다.
보고서는 중장년층의 이동이 △생활권 내 근거리 이동 중심 △주거환경 개선 목적 △지역특성별 요인 차별화 등의 특징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인구감소지역으로 유입되는 중장년층의 40~80%는 같은 광역시·도 내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북 울릉군(4.97%), 전남 신안군(4.70%), 인천 강화군(4.17%) 등이 높은 순유입률을 보였다. 이들 지역은 자연환경이 우수하고 은퇴 세대가 선호하는 정주환경을 갖춘 곳으로 평가됐다.
또 산업기반이 있는 지역은 직업 요인이, 자연경관이 뛰어난 지역은 환경 요인이 높게 작용했으며, 수도권 인접 지역은 접근성과 생활편의성 덕분에 유입이 두드러졌다. 보고서는 “중장년층은 전원생활의 여유와 도시의 의료·문화 서비스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1~2시간 생활권 지역을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국회미래연구원은 인구감소지역이 획일적인 특성을 지닌 공간이 아니라, 수도권 인접형·광역시 생활권형·관광자원형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지역별 특성에 맞춘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광역교통망 확충, 의료 접근성 강화, 중장년층 맞춤형 주거단지 조성 등 지역연계형 전략을 제안했다.
보고서는 또 “중장년층은 자산과 경험을 가진 세대로, 이들의 유입은 단순한 인구 증가를 넘어 지역경제 활성화의 촉매제가 될 수 있다”며 “안정적 생계유지를 위한 일자리 지원, 농지 매입·임대, 의료환경 개선, 사회적 관계망 형성 지원 등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