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내년도 예산안 7조582억 편성…올해보다 5.7%↑

민생 안정·경기 회복에 초점…사회복지 분야가 43% 점유
지방채 2000억 발행…시의회 심사 후 내달 15일 확정

2025-11-11     최일 기자
▲ 대전시청 전경. (사진=최일 기자)

[충청신문=대전] 최일 기자 = 대전시가 7조원대의 2026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

시는 올해(6조 6771억원)보다 5.7%(3811억원) 증가한 7조 582억 원 규모의 내년 예산안을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11일 밝혔다.

회계별 예산안은 △일반회계 5조 7394억원 △특별회계 1조 3188억원으로 올해 대비 각각 3.5%(1924억원), 16.7%(1887억원) 늘렸다.

이는 여전히 대내외 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지만 기업 실적 개선, 내수 중심 경기 회복 등 국세 수입 개선 전망에 따라 국고보조금 등 중앙 이전 재원 확대와 점진적 소비 회복, 건설 부진 완화 등으로 지방 세입 여건이 다소 개선된 데 기인한다고 시는 설명했다.

시는 긴축재정 기조를 유지하면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 등 대규모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의 원활한 추진, 사회적 약자 지원 등 복지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세출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보다 약 18%(300억원) 늘어난 2000억원의 지방채를 내년에 발행하기로 했다.

내년도 분야별 예산 배정액은 △사회복지가 3조 187억원(전년 대비 +2.3%)으로 전체의 42.8%를 차지하고 △일반공공행정 1조 4278억원(+7.6%) △지역경제 7145억원(-1.7%) △교통·물류 6899억원(+32.4%) △보건·환경 6122억원(+1.4%) △문화·관광·교육 5951억원(+8.7%) 등으로 주요 투자 계획은 다음과 같다.

◆SOC 확충
시민 숙원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도시철도 2호선 건설 2400억원 △안영생활체육단지 2단계 160억원 △무궤도 트램 시범사업(3칸 굴절차량) 68억원 △서남부스포츠타운 건립 53억원, 도로망 확충을 위해 △대덕연구개발특구 동측 진입로 개설 161억원 △정림중~사정교 도로 개설 100억원, 재난 대비를 위해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 158억원 △지방하천 정비 32억원 등을 반영했다.

◆소상공인·전통시장 지원
저성장 고착화 및 고금리·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해 △초저금리 지원 410억원, △경영 회복 지원 136억원 △대전사랑상품권 발행 60억원 △임대료 지원 30억원 △전통시장 냉풍기 지원 10억원 △전통시장 및 상점가 주차환경개선 68억원 등을 편성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힘을 보탠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돌봄·보육 지원사업으로 △대전형 양육수당 527억원 △영유아보육료 1319억원 △어린이집 반별 운영비 68억원 △누리과정 차액보육료 18억원 △아이 돌봄 236억원, 청년 지원사업으로 △청년부부 결혼장려금 160억원 △청년 월세 한시 지원 144억원 △미래두배 청년통장 40억원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18억원 등을 책정했다.
어르신 지원사업으론 △무임교통에 216억원 △일자리에 897억원 △기초연금에 5631억원 △경로당 지원에 127억원 등을 계상했다.

◆미래 성장동력 발굴
일류 경제·과학도시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분야에는 6대 전략사업(우주항공·바이오헬스·나노반도체·국방·양자·로봇)을 중심으로 △바이오창업원 조성 86억원 △마중물 플라자 조성 79억원 △방산혁신클러스터 사업 및 로봇드론센터 조성 40억원 △KAIST(한국과학기술원) 개방형 양자팹 구축 20억원 △우주산업 혁신 기반 및 위성 개발 33억원 등을 편성했다.

한치흠 대전시 기획조정실장은 “내년도 예산안은 긴축재정 기조 하에 한정된 재원을 민생 안정과 경제 활력, 생애 전주기 맞춤형 지원을 통한 미래세대 투자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며 “재정 상황이 녹록지 않은 만큼 재원이 필요한 곳에 제대로 쓰여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예산안은 시의회 심사를 거쳐 12월 15일 본회의 의결 후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