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 나홀로·고령화 가속...구조적 리스크 커졌다
높은 폐업률·대출연체도 심화... 재무건전성 제고 등 시급
2025-11-25 김용배 기자
특히 업종별 양극화에 낮은 수익성으로, 취약차주 대출 비중과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25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김수림 과장, 박서희 조사역이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올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3000명으로, 지난 2023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체 취업자 중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18.9%를 기록해 광역시 중 대구(21.7%)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
종업원 없는 1인 자영업자의 비중은 올해 2분기 기준 71.24%로, 2023년 1분기(64.23%) 대비 약 7%p 증가해 광역시 중 가장 높은 증가세을 보였다.
이는 소규모·영세 자영업 비중이 높음을 시사한다. 특히 인건비 상승도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증가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또 연령별에서는 60대 이상 고령 자영업자 비중이 지난해 상반기 기준 35%를 차지해 2015년(19.6%) 대비 15.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과 자영업 진입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됐다.
사업체당 매출액은 1억7900만원, 영업이익은 2100만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아 수익성이 낮은 상황이다.
이와 함께 폐업률도 지난해 기준 10.4%로 전국 평균(9.5%)을 상회했다.
특히 자영업자의 대출은 경기침체 여파로 가계대출 중심으로 증가율이 확대되고 있다.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한 대면서비스업이 대출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고, 고령층 차주수 및 대출잔액이 가파른 증가세다.
올 6월말 기준 고령층 차주수는 2만2000명으로 전체 자영업자 중 26.7%를 차지했다. 이는 코로나 이전인 2019년(8000명) 대비 1만4000명, 2022년(1만8000명) 대비 4000명 증가한 수준이다.
김수림 한국은행 과장은 “대전지역 자영업은 업종별로 도소매 등 진입장벽이 낮은 대면서비스업에 집중되고 1인 자영업과 고령층이 늘어나고 있다”며 “최근 자영업자 대출 증가폭이 확대되는 등 부채 상환 부담이 심화되고 있어 자영업자의 재무건전성 제고 및 금융 리스크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