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신문=대전] 황천규 기자 = "10원짜지 동전 사이즈가 어떻드라, 문양이 뭐였더라…."
신용카드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현찰을 들고 다니는 이는 드물다. 더군다나 10원짜리 동전은 언제 구경했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이같은 세태를 반영하듯 지난달 한국은행의 10원짜리 동전 발행액이 역대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5월 한 달 동안 10원 주화 발행액은 총 1천 700만원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170만개를 새로 발행한 셈이다.
이는 관련 통계가 남아있는 1992년 1월 이후 가장 작은 액수다.
월간 10원 주화 발행액은 지난 2019년 8월 2억 6300만원(2630만개)을 기록한 뒤 점차 줄어 지난해 11월 처음으로 2000만원(200만개)까지 떨어졌다.
역대 최고액은 2000년 8월의 5억 9300만원(5930만개)이었다.
지난 5월 한 달 동안 한은이 환수, 즉 시중에서 거둬들인 10원짜리 동전은 총 3200만원(320만개)으로 발행액보다 두 배 가까이 많았다.
유통되는 10원 주화가 줄었다는 반증이다.
50원 주화의 경우 지난 5월 환수액이 2억 3200만원으로, 발행액(1800만원)의 13배에 달했다. 10원 주화보다 더 빠르게 사라진 셈이다.
같은 달 100원 주화 역시 환수액(14억 6200만원)이 발행액(1억 3700만원)의 11배였고, 500원 주화는 각각 24억 7500만원, 3억 8100만원으로 6배였다.
신용카드 등 현금 이외의 지급 결제 수단이 보편화됐고 물가도 상승해 액면가가 낮은 주화 이용이 줄어드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발행액도 축소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10원 주화는 오히려 과거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로 소비되는 경향이 있다.
한은은 앞서 시중에서 판매되는 이른바 '십원빵'이 화폐 도안을 무단 활용했다며 문제를 제기했으나, 지난해 8월 기준을 재정비해 이를 허용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