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망막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려워 조기 진단과 정밀한 모니터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안과에서는 광간섭단층촬영(OCT), 형광안저혈관조영술 등 다양한 영상진단 장비가 활용된다. 그러나 병원이나 제조사에 따라 장비 측정값이 달라 일관된 기준을 마련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연구진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제 망막과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구현한 ‘망막 모사 안구 팬텀’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 팬텀을 진단 장비에 적용하면 해상도, 시야 범위 등 주요 성능을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보정할 수 있다.
기존 팬텀이 단순히 망막 층과 혈관 일부만 구현한 데 비해 이번 팬텀은 망막의 13개 층, 곡률, 미세혈관 네트워크, 혈류, 자가형광까지 재현해 실제 망막과 90% 이상 일치한다.
덕분에 OCT부터 혈관조영술까지 다양한 진단 장비에 활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의료기관에서 진단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장비 제조사의 품질 관리와 의료진 교육에도 폭넓게 쓰일 전망이다.
특히 실제 망막과 가까운 환경에서 훈련이 가능해 의료진의 숙련도를 높이고, AI 기반 진단 연구에도 고품질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원 나노바이오측정그룹장은 “팬텀을 활용하면 장비를 표준화해 신뢰할 수 있는 검사 환경을 만들 수 있다”며 “AI 진단 기술 고도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