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

본문영역

‘10·15 대책’ 후폭풍... 충청권 주택사업경기 '급랭'

이달 경기전망지수 큰 폭 하락... 수도권 부동산 경기둔화 지방 확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입력 : 2025.11.13 17:07
  • 기자명 By. 김용배 기자
▲ 대전시 전경. (사진=충청신문DB)
[충청신문=대전] 김용배 기자 = 수도권 규제에 초점을 맞춘 ‘10·15 대책’ 후폭풍이 충청지역에도 거세다.

이달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대전을 비롯해 세종·충남·충북 모두 큰 폭 하락해서다.

10·15 대책의 영향으로 부동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지방으로까지 확산되는 모습이다.

특히 수도권의 거래 위축이 충청지역 주택시장 전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11월 대전지역 주택사업경기 전망지수는 71.4로 전월(93.3)대비 21.9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동월보다도 지수가 23.0P나 추락한 수치로, 주택사업 여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택사업경기지수는 공급자인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매월 조사하는 주택사업 경기에 대한 종합적인 지표로 100 이상이면 사업경기가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가 많다는 의미다.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세종의 이달 주택사업경기 전망지수는 83.3으로, 전월(100.0)대비 16.7P나 하락했다. 10·15 대책이 사업자들의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충남의 주택사업경기 전망 역시 전월(83.3)대비 10.5P 하락한 72.7을 기록했다.

충북 역시 62.5로 전월(90.0)보다 무려 27.5P 떨어지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산 되는 양상이다.

이달 전국 조금조달지수는 하락했고, 자재수급지수는 상승했다.

자금조달지수는 73.4로 전월대비 13.1p 하락했다. 10·15 대책으로 정비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주택공급 및 분양시장 전반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난달 기준금리 동결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면서, 지수 하락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자재수급지수는 3.2p 소폭 상승한 96.6으로 전망됐다. 이는 건설용 원자재 가격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원재료 물가는 5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고, 중간재 물가 역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주산연 관계자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장 회복 기대감이 형성되며 지수가 상승했던 지난달과 달리, 이번 달에는 10·15 대책의 영향으로 부동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지방으로까지 확산되는 분위기“이라며 ”다만, 부산, 울산 등 일부 지방은 인기 지역 중심으로 반등의 흐름을 보이고 있어 수도권 규제 강화에 따른 반사이익을 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충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충청신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