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

본문영역

충청권 3분기 경제 회복 흐름…생산·수출 증가

반도체·전자 중심 상승세 속 건설수주 지역별 온도차 뚜렷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입력 : 2025.11.17 15:37
  • 기자명 By. 하서영 기자
▲ 2025년 3분기 충청권 지역경제동향. (사진=충청지방통계청 제공)
[충청신문=대전] 하서영 기자 = 3분기 충청권 지역경제가 생산·수출·고용 등 주요 지표에서 전반적으로 개선된 흐름을 보인 가운데, 건설 수주와 수입, 일부 시·도별 산업 부문에서는 회복세가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지역통계과가 17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충청권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충청권 광공업 생산은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음향·통신장비,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산업의 호조로 전년 동분기 대비 8.4% 증가했다.

충북(19.1%)과 충남(3.8%)은 상승세가 두드러진 반면 대전(-1.2%)과 세종(-0.7%)은 특정 제조업 부진 여파로 소폭 감소했다.

건설 수주는 건축 부문의 확대에 힘입어 충청권 전체가 16.2% 늘었다.

대전은 건축·토목 부문이 모두 증가하며 38.9% 상승했고 충북은 건축 부문 주도로 104.4% 급증했다. 반면 세종(-49.4%)과 충남(-24.2%)은 건축과 토목 모두 부진하며 감소폭이 컸다.

수출은 메모리 반도체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13.1% 증가했다.

충북(36.8%)과 충남(7.1%)이 반도체 중심의 성장세를 보였고 세종은 컴퓨터 주변기기 증가로 15.6%, 대전은 수송기타장비 증가로 9.0% 각각 상승했다.

수입은 원유 감소 등으로 충청권 전체가 8.3% 줄었으며 충북(6.8%)을 제외한 대전(-12.6%), 세종(-12.8%), 충남(-10.3%)이 모두 감소했다.

고용 지표는 개선 흐름이 뚜렷했다.

충청권 고용률은 65.9%로 전년보다 1.1%p 상승했고 실업률은 1.8%로 0.2%p 하락했다.

고용률은 대전(2.2%p), 충북(1.5%p), 충남(0.4%p)이 상승한 반면 세종은 1.1%p 낮아졌다.

실업률은 세종이 0.4%p 상승했으나 대전(-0.2%p), 충북(-0.7%p)은 하락했고 충남은 변화가 없었다.

인구 이동에서는 충청권 전체가 6972명 순유입된 가운데 세종만 343명 순유출, 대전(2652명)·충북(2431명)·충남(2232명)은 순유입을 기록했다.

시·도별 세부 동향을 보면 대전은 광공업이 1.2% 감소했으나 도매·소매업 호조로 서비스업이 3.8% 증가했다.

승용차·연료 판매 증가로 소매판매는 2.3% 늘었고 건설 수주는 38.9% 상승했다.

고용률은 62.7%로 2.2%p 상승했고 인구는 20대·10대 유입 증가로 2652명 순유입됐다.

세종은 광공업이 0.7% 감소한 반면, 서비스업은 정보통신업 중심으로 3.5% 증가했다.

소매판매가 8.8% 늘었지만 건설 수주는 49.4% 줄며 부진했다.

고용률은 64.7%로 1.1%p 하락했고 실업률은 0.4%p 상승했으며 인구는 343명 순유출됐다.

충북은 광공업 생산이 19.1% 증가하는 등 충청권에서 가장 강한 성장세를 보였다.

서비스업도 3.6% 증가했고 소매판매는 2.7% 늘었다.

건설 수주는 104.4% 급증했고 고용률은 68.1%로 1.5%p 올라 실업률은 1.0%로 0.7%p 감소했다.

인구는 2431명 순유입됐다.

충남은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 산업의 호조로 광공업이 3.8% 늘었고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확대에 힘입어 서비스업도 1.1% 증가했다.

수출은 7.1% 증가했으며 소매판매도 0.9% 소폭 증가했다.

반면 건설 수주는 24.2% 감소했다. 고용률은 66.5%로 0.4%p 상승했고 실업률은 2.2%로 변화가 없었다.

인구는 2232명 순유입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충청권은 전자·반도체 등 제조업 중심의 회복 흐름이 이어지면서 생산과 수출이 안정적으로 증가했다”며 “다만 지역별로 산업 구조 차이가 커 건설 경기나 특정 제조업 부진이 일부 시·도에 영향을 주고 있어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고용률 상승과 인구 순유입은 긍정적인 신호지만 세종과 일부 연령대에서 나타난 순유출처럼 지역 간 인구 이동의 변화가 뚜렷해지고 있다”며 “향후 소비·서비스업 회복세와 연동해 지역경제의 회복 폭이 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충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충청신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