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

본문영역

ETRI, 국내 방송미디어 기업과 글로벌 진출 나선다

국산 방송기술 세계표준 주도... "産․政과 생태계 기반 다질 것"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입력 : 2025.11.24 16:35
  • 기자명 By. 김용배 기자
▲ 국내 방송미디어 ICT 기업 글로벌 시장진출 간담회 참석자들이 글로벌 진출 전략 및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모습. (사진=ETRI제공)
[충청신문=대전] 김용배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서울 목동 한국전파진흥협회(RAPA) 사옥에서 ‘국내 방송미디어 ICT 기업 글로벌 시장진출 간담회’를 개최하고, 국내 방송장비 기업의 중남미 시장 진출 전략을 모색했다.

24일 ETRI에 따르면 이번 간담회는 ETRI가 개발한 방송전송 기술이 지난 8월 브라질 차세대 방송표준(DTV+)에 공식 채택된 이후 국내 방송미디어 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맞이한 상황에서 마련됐다.

정부·연구기관·기업이 협력해 중남미 수출 생태계 조성 전략을 구체화하는 것이 이번 간담회의 주된 목적이다.

행사에는 ETRI 이정익 초실감메타버스연구소장을 비롯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파진흥협회(RAPA),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삼성전자, LG전자, 현대모비스 등 방송·미디어 분야 주요 기관 및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브라질 DTV+ 채택 이후의 시장 전망, 국산 수신칩 확보 필요성, TV·송출장비 기업의 동반 해외진출 전략, 2026년 NAB 및 브라질 현지 협력 방안 등 실질적 지원책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브라질은 남미 최대 방송시장이자 자국의 1세대 디지털 방송표준(ISDB-TB)을 아르헨티나 등 14개 인접국으로 확산시킨 표준 영향력 거점국으로서, 역내 방송기술 협력과 국가 간 공조를 강화해야 할 전략적 파트너다.

ETRI는 이날 간담회에서 ATSC 3.0 표준의 잠재적 시장가치와 신속한 기술개발을 통한 선제적 상용화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글로벌 미디어 리서치 기관인 닐슨(Nielsen) 등 관련 자료에 따르면 ATSC 3.0의 잠재 시장 규모는 2031년 기준 약 1조7000억 원으로 추정된다.

또한 국내기업이 2026년부터 2031년까지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는 장비·수신단말 매출은 약 1조 4천억 원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 중 TV 튜너가 75.8%인 약 1조 원을 차지하는 만큼, 해당 분야에 대한 전략적 시장 공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ETRI와 국내 기업들은 상호 협력을 기반으로 한 신속한 기술개발과 조기 상용화의 필요성에 공감했으며, 국내 방송장비 및 단말 제조업체의 해외시장 진출과 선점을 위한 수출 전략,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방안도 함께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이정익 ETRI 초실감메타버스연구소장은 “ETRI는 정부 및 기업과 협력해 국산 DTV+ 수신칩 개발, 글로벌 시험방송, 브라질·중남미 현지 공동 실증 등을 적극 추진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기반을 확고히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충청신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