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민들은 “이 지역은 이미 사람이 살 수 없는 지경”이라며 동화농산을 비롯한 기피시설 업체들의 환경 관리 부실을 강하게 규탄했다.
대평2리 일대는 동화농산을 포함해 8개의 기피시설이 밀집한 대표적 환경 취약지다. 주민들은 분뇨 악취, 침출수 고임, 폐수 유출, 소음, 토사 유입 등 복합적 피해가 일상처럼 이어졌다고 토로한다.
최근 동화농산의 폐기물 노출과 비가 올 때마다 반복되는 분뇨 누출, 농업용수 오염 위험까지 더해지면서 분노는 폭발했다.
주민들은 이날 8개 공식 요구안을 발표하며 △동화농산 대표 사과 △분뇨·폐기물 처리시설 전면 개선 △건강영향 조사 △침수·토사 유입 방지 공사 △기피시설 전수조사 및 과태료·행정처분 강화 △마을환경 정비 △주민대표단 면담 등을 촉구했다.
대평2리와 인접한 광덕면 주민들도 지난 10월 17일 동화농산 앞에서 집회를 열고 사조그룹의 관리 부실을 비판한 바 있다.
당시 주민들은 트랙터로 출입구를 봉쇄하며 “동화농산 폐쇄하라”고 외쳤다. 동화농산은 사조그룹이 운영하는 대규모 양돈시설로 1만4000두를 사육하는 지역 최대 규모지만, 주민들은 “시설은 노후했고 오염은 반복됐다”고 비판한다.
회사 측은 “퇴비 제거와 침출수 저류조 설치 등 주요 개선 작업을 진행 중”이라면서도, 주민들이 제시한 오염 사진에 대해서는 “인근 다른 업체에서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어 단정할 수 없다”며 책임을 전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또 “4월 이후 방류수 검사는 기준치를 충족했다”며 주민 주장과 차이가 있다고 반박했다.
천안시는 지난 9월 동화농산의 축산 폐수 공공수역 유출을 확인하고 고발 조치했으며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다.
그러나 주민들의 불신은 여전하다. 주민들은 “해명이 아니라 눈에 보이는 변화가 필요하다”며 “천안시가 강력한 조치를 내놓지 않으면 집회와 법적 대응을 계속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동화농산은 “대부분의 환경 개선 조치를 시행 중이며 12월 내 완료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