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

본문영역

통합 청주시 조직 구성 앞두고 자리 다툼

조직 신설·확대 요구 잇따라…지방행정硏 “일부는 직렬 보호 의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입력 : 2013.07.16 19:37
  • 기자명 By. 신동렬 기자

청주시와 청원군 공무원들이 다음 달 완성될 통합 청주시 조직 구성안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신이 속한 직렬이나 몸담은 부서의 운명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지난달 25일 ‘통합 청주시 조직설계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었다.

본청에 도·농 복합시의 상징인 농정국과 함께 주민 갈등을 조정, 균형 발전을 모색하는 통합발전국(점진적 개편안에만 해당)을 설치하는 것이 뼈대였다.

그러나 세부 조직 시스템 구성과 관련해서는 적지 않은 동요가 일었다. 부서·직렬별로 자신들의 ‘희망사항’이 반영되지 않아서다.

그러자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시·군 부서별로 이의나 의견을 받았다.

시의 건축디자인과는 건축 파트와 주택 파트로 분과를 요구했다.

여기저기 흩어진 공공 건축 업무를 건축과로 한데 모으고, 나머지 공동주택계와 단지조성과의 주거 정비 업무를 합쳐 주택과를 만들자는 취지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들 건축직이다.

4개 구청(2개 신설구 포함)에 하나씩 설치되는 보건소는 같은 보건직이 배치된 기존 구청의 위생 파트를 흡수하는 것이 조직관리 면에서 효율적이라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보건소별로 위생과를 설치해 달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청원군의 농정 부서는 농민들이 행정구역 통합으로 피해를 보지 않도록 제도적 뒷받침을 해 달라며 구청마다 농정과를 둬야 한다고 건의했다.

청주시 상수도사업본부는 10배 이상 늘어날 수질검사 수요에 감당하기 위해서는 수질관리과를 신설해야 한다고 읍소했다.

양 자치단체에서 제기된 의견은 중복사항을 포함, 모두 45건에 달하는 것으로 16일 확인됐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따르면 이 가운데 합당한 의견이 없지는 않았다.

그러나 ‘민원’의 일부는 수요 대비 효율성보다는 자기 직렬의 보호를 위한 안전장치 마련 차원인 것으로 이 연구원은 해석하고 있다.

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필요 이상으로 상위직을 늘렸다가는 안전행정부의 페널티가 가해진다”며 “인력 문제상 요구를 다 들어줄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통합 인구가 83만명인 청주와 청원의 공무원 수는 지금도 인구 90만명의 경기도 용인시보다 많다”고 덧붙였다.

연구원은 17일까지 이의나 의견을 제시한 부서와 순회 면담한 뒤 자체 자문회의를 거쳐 내달 중순 통합 청주시 조직의 골격을 최종적으로 제시할 계획이다.

청주/신동렬기자 0114667220@dailycc.net

저작권자 © 충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충청신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