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신문=대전] 김용배 기자 = 연이은 정부의 부동산대책으로 시장이 혼란한 가운데 대전 전세시장 불안이 심화하고 있다.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전세 수요는 느는데 공급이 급감하면서 시장이 요동치고 있는 것.
특히 임대인들의 월세전환이 늘면서 저소득층이나 사회초년생, 신혼부부들의 ‘전세 후 내집 마련’의 꿈이 사라지고 있다.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대전의 주간 전세수급 동향은 188.4를 기록, 5월 중순(175.4)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 중이다. 전세수급지수는 0~200 범위 이내이며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공급부족' 비중이 높다는 의미다.
특히 전세거래 역시 12.5로, 최근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세거래지수는 100이하 일수록 ‘한산함’을, 초과할수록 '활발함' 비중이 높다.
이럴 듯 전세매물은 급감하면서 전셋값도 들썩이고 있다. 8월 둘째 주 전세가격 증감률은 0.23%로 올랐다. 학군이 우수한 서구(0.33%)와 정비사업과 개발호재가 많은 동구(0.33%) 위주로 상승폭이 크다.
이 같은 전셋값 상승세는 임차인에게 4년 거주를 보장하고, 임대료 인상을 5% 이내로 묶는 내용을 담은 새 임대차법이 시행에 들어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새 임대차법으로 전세 계약기간이 4년(2+2년)으로 늘어나고, 계약갱신 시 보증금 인상이 5% 안으로 제한되자 임대인들이 신규 계약에서 전셋값을 올려 받고 있고, 4년 거주가 보장된 세입자들이 기존 전셋집에 주저앉으면서 공급이 급격히 줄면서 전셋값이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특히 신혼부부나 사회초년생 등의 주거비용 부담이 커졌다. 조건에 맞는 전세 매물도 없고 남아있는 전세 매물마저 반전세, 월세로 전환되고 있어 전세를 살면서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서구에 거주하는 김모(30)씨는 “독립하기 위해 그 동안 직장생활하면서 모은 돈과 부모님한테 일부 보조를 받아 전세를 알아보고 있으나 조건에 맞는 집을 못 찾았다”면서 “대부분 부동산 중개업소에서 반전세나 월세를 요구하고 있어 비싼 아파트는 생각도 못하고 원룸이나 빌라를 알아보고 있다”고 하소연 했다.
일부 부동산 전문가들은 전세시장 혼란으로 임대차와 임대인 등 모두가 피해를 보고 있어 정부의 보완대책도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임대차법 시행 등으로 세금부담을 덜기 위해 집주인들이 전세를 반전세‧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면서 전세 매물은 턱없이 부족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전셋가가 뛰고 있는 형국이다”며 “정부의 부동산 대책발표 이후 전월세 시장의 가격 불안 심화 등은 반드시 점검이 필요한 부분이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