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신문=세종] 임규모 기자 = 충청권 지자체 7곳이 제3차 도시재생뉴딜 사업에 선정됐다.
정부는 2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제25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개최하고 올해 3차 도시재생뉴딜사업 총 47곳을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은 총괄사업관리자 등 16곳, 혁신지구 2곳, 인정사업 29곳이다. 사업지에 대해서는 25년까지 국비·지방비·부처연계·공기업·지자체 자체 기금 및 민간투자 등 총 2조 6000억을 투입, 322만㎡의 쇠퇴지역을 재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마을주차장·문화시설 등 103개의 생활SOC, 로컬 푸드 판매·청년 창업공간 등 24개의 산업과 창업 지원시설이 공급된다. 마중물 사업 기준 1만5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로주택·자율주택 정비 등 소규모 주택 정비 573호 등 총 3872호의 주택 공급과 빈집 정비 55호 및 집수리 796호를 통해 주거환경 개선에도 역점을 두어 추진될 예정이다.
이번 신규사업은 위험건축물 및 공사중단 방치건축물 활용(6곳), 노후 공공청사·마을회관 활용(9곳), 공공청사 등 이전부지 등 유휴 공공용지 활용(14곳)을 통해 지역에 필요한 SOC를 공급,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고 추진된다.
특히, 47곳 중 45곳에서는 제로에너지건축 또는 그린 리모델링을 적용해 환경친화적인 도시재생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충청권은 대전 대덕과 충남 공주·금산·서산(2곳)·아산 인정사업, 충북 단양 중심시가지형 사업이 선정돼 내년부터 2023년까지 사업이 추진된다. 충북 단양은 25년까지다.
이날 도시재생 특위는 내년도 도시재생 예비사업 선정안도 확정했다. 연초에 사업이 바로 착수되도록 최종 86개를 선정했다.
도시재생 예비사업을 통해 내년 총 100억을 투입해 86개의 쇠퇴지역 812만㎡을 재생할 예정이다. 58개의 커뮤니티 거점을 조성하고 218건의 주민교육을 실시할 예정으로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 등을 통해 1200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 추진현황 점검과 함께 성과 확산을 위한 추진과제도 논의했다. 정부는 지방공사의 총괄 사업관리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발굴해 임대주택 공급 등 공기업 투자를 지속 확대해 나가는 한편, 지난해에 선정한 고양 혁신지구도 연내 착수하는 등 내실 있는 사업관리를 통해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로 했다.
민간, 지자체, 기금이 협업해 사업을 기획·구상하는 민관협력형 도시재생리츠, 도시재생 관련 중소·벤처기업 발굴 등을 위한 모태펀드 등을 통해 민간투자 활성화도 도모한다. 이와 함께, 주민이 주도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해 주민·활동가 교육, 교재 개발 등 주민역량 강화에도 힘쓸 계획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도시재생은 지역의 주거, 일자리, 복지 등 전반적인 삶의 질 제고를 도모하는 종합예술이라는 측면에서 모든 부처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공공지원과 민간투자가 선순환하는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주민 등 민간참여 활성화를 위해 적극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어 정총리는 “선정한 47곳을 포함해 전국 400여 곳의 도시재생사업이 침체 된 지역 경기회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사업관리에도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