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신문=천안] 장선화 기자 = 제22대 총선과 4·2 아산시장 재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압승을 거두며 충남 아산 지역을 ‘완전 장악’한 가운데, 박상돈 천안시장의 대법원 선고를 앞두고 정가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 정가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천안 지역 3석과 아산 지역 2석 등 총 5개 지역구를 모두 석권했다. 이어진 아산시장 재선거에서도 오세현 후보가 60%가 넘는 압도적 득표율로 승리하며 아산시까지 탈환했다. 충남 북부권 정치지형이 민주당 중심으로 급격히 재편되며 박상돈 천안시장의 거취가 마지막 변수가 되고 있다.
박 시장은 오는 24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한 대법원 최종 선고를 앞두고 있다. 이에 따라 민주당 내부에서는 재선거 가능성에 대비해 본격적인 물밑 준비에 돌입한 분위기다. 이미 전·현직 시의원, 충남도청 출신 인사, 중앙당 기획라인 인물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되며 조용한 경쟁이 시작됐다는 전언이다.
그러나 박 시장이 재상고심 선고에서 유죄가 확정되더라도 재선거는 치러지지 않는다. 현행법상 기초자치단체장의 남은 임기가 1년 미만일 경우 재보궐선거는 실시되지 않고, 부시장 권한대행 체제로 시정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박 시장은 7일 신문의 날을 맞아 열린 언론인 차담회에서 “오는 24일 제 신변과 관련한 대법원 선고가 예정돼 있다. 언론에서 많이 보도하시는데, 이는 재판부가 판단할 일”이라며 “시정에 동요와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이미 취했다”고 밝혔다.
이어 “만일 물러나게 되더라도 부시장이 차질 없이 시정을 이끌 수 있도록 인수인계서를 작성해 전달할 계획”이라며 시정 공백 최소화에 방점을 뒀다.

한편, 민주당 내부에서는 이번 총선과 보궐선거의 승기를 조기대선 정국과 연계해 전략적으로 확대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민주당 충남도당 위원장이자 ‘이재명의 입’으로 불리는 문진석(천안갑) 의원의 역할이 주목받는 이유다. 당 관계자는 “충남을 민주당의 전략 거점으로 삼기 위한 전열 정비가 시작됐다”고 전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총선 참패 이후 리더십 부재와 인물난 속에서 뚜렷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천안병 당협은 아직까지 위원장이 공석인 상태로, 조직 재정비조차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현재 상태라면 조기대선은 커녕 지방선거 준비도 불가능하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충남 보수진영 내부에서는 “지금이야말로 김태흠 충남지사가 중심을 잡고 재정비에 나서야 할 때”라는 요구도 거세지고 있다.
민주당의 공세 속에서 박상돈 시장의 향방이 천안은 물론 충남 정치지형 전체에 적잖은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