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후보는 이날 이준배 국민의힘 세종시당위원장으로부터 세종의사당 진행 상황을 보고 받은 후 충청권 공약을 발표했다.
'국회의사당의 세종 완전 이전'을 약속했다. 여의도 국회의사당 잔류 없이 입법부 기능을 전면 세종시로 이전하고, 이전 시점도 현재 계획 중인 2032년이 아닌 2029년으로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충청권이 '균형발전의 핵심축이자 미래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교통망 확충, 과학기술 혁신, 지역경제 활성화, 행정수도 완성 등 지역의 성장 동력을 살리고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핵심은 행정수도의 이전이다. 국회의사당을 서울 여의도 잔류 없이 세종으로 완전 이전한다는 목표다. 대통령 제2집무실도 조기 건립하고 수도권에 남아있는 중앙행정기관도 세종으로 옮긴다.
이와 함께 대통령 제2집무실 건립을 조기에 마무리하고, 개헌을 추진해 세종시의 행정수도 지위를 명문화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김 후보는 "대통령 집무실 건립과 국회의사당 완전 이전을 2032년이 아니고 2029년에 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현재 서울에 남아 있는 여성가족부, 법무부 등 중앙행정기관과 대통령 소속 7대 위원회(국가인권위, 국가교육위, 금융위, 원자력안전위, 개인정보위, 방송통신위 등)과 한글박물관, 세종학당 등을 세종으로 이전한다는 공약을 밝혔다. 이를 통해 서울~세종 간의 비효율을 해소하고, 진정한 행정 일원화를 실현하겠다는 구상이다.
김 후보는 "오늘 이 땅에 와 보니 이 정도 부지면 못할 게 없다. 국회의사당만이 아니라 대통령실도 여기까지 와서 근무해도 될 정도로 매우 넓고 좋은 곳"이라며 "다 옮겨도 아무 지장은 없다. 국회와 대통령 집무실만 오면 (세종은) 행정수도로서 상당히 편리한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다.
세종시와 주변 지역의 균형발전을 이끄는 '세종 메가시티' 구상도 함께 제시했다. 이를 위해 조치원 도심구간 철도 지하화, 제2외곽순환도로 건설 등 지역 기반 교통망을 대폭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
김 후보는 "(세종이) 교통이 좀 불편하다. 대통령이 되면 즉시 대전-세종-오송-청주-청주공항으로 연결되는 CTX(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를 반드시 완성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또 세종 북부권 산업단지를 AI(인공지능) 기반 첨단산업 특화단지로 재편하고, 배후 신도시를 조성해 일자리-정주-산업이 선순환하는 성장축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민간기업, 백화점·공연장 등 문화·상업시설 유치 여건을 조성하고 특목고 및 대학교 유치를 적극 지원해 정주 여건과 도시 매력을 높이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