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싣는 순서
1.담수호 해수유통 과연 실현될까
2.화력발전소 폐지와 특별법 제정
3.내포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이전
[충청신문=내포] 이의형 기자= 충남지역은 지난 1984년 천수만 AB지구 물막이 공사를 하면서 서산·태안에 조성된 간월호와 부남호 등 대형 담수호를 비롯해 보령과 당진 등에 담수호가 있다.
이들 담수호는 대부분 해수유통이 원활하지 못해 수질은 나빠지고 바다 생태계가 파괴되는 등 간척사업으로 인한 폐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담수호의 이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우리동네 공약’에서 보령, 서산, 태안, 부여, 서천 등 5개 지역의 간척지와 바닷물을 유통시키는 역간척 사업의 추진을 약속했다.
구체적으로 이 대통령은 서산·태안 지역 간월호와 부남호의 역간척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고, 보령지역의 보령호 해수유통으로 생태복원 지원을 선언했다.
또한 부여와 서천에 걸쳐있는 금강하굿둑 개방을 통한 하천 복원도 공약으로 제시했다.
연안 담수호 생태복원 사업은 간척 등 개발로 인해 막힌 물길과 뱃길을 연결하는 것으로 흔히 역간척사업 또는 재자연화사업으로 통칭되고 있다.
담수호의 물의 가두고 있는 제방의 둑을 일부 허물거나 해수가 유통할 수 있도록 물길을 여는 역간척사업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될 뿐만 아니라 지역 어민과 주민들의 의견을 모아야 하는 어려운 과제 중 하나다.
역간척을 통한 해수유통은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학계의 치밀한 연구와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추진돼야 한다.
충남도는 김태흠 지사가 취임 한 후 ‘연안 담수호 생태복원’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도는 서산·태안의 천수만 부남호와 간월호, 당진 석문국가산업단지 유수지 등을 ‘연안 담수호 생태 복원’의 국가사업 대상지로 제안했다.
도는 지난해 12월 5개 시군 해양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연안 담수호 생태 복원 타당성 조사 대응 연구용역 추진 보고회를 개최했다.
도는 이 사업을 통해 담수호 주변 수질과 갯벌, 기수역 등을 되살리고, 자연과 사람이 상생하며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바다를 만든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22년 김태흠 지사 취임 후 도는 관련 부처 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회 정책 토론회를 개최하고, 부남호를 비롯한 연안 담수호의 생태 복원에 대한 국가 사업화를 요청했고, 경기도·전남도 등과 연대협력협의회를 구성·가동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충남도의 이 같은 노력에 따라 지난해 처음으로 예산 5억원을 확보해 연안 담수호 생태 복원 사업 타당성을 조사하고 있다.
이에 대응한 도의 연구용역은 정부의 우선 추진 대상 선정 시 부남호를 먼저 반영시키고, 신규 사업 대상을 추가 발굴하기 위해 충남연구원을 통해 실시 중이다.
도는 대형 모델로 부남호, 소형 모델로 당진 석문국가산업단지 유수지 등을 우선 시범 사업 대상지로 제안했다.
부남호는 수질이 6(Ⅵ)등급으로 매우 나쁘고, 고염분의 해수가 40여 년 동안 호소 내에 갇혀 있으며, 저층 유기오염도 증가에 따른 용존산조 부족으로 저서 생태계가 파괴돼 있다.
담수호 생태 복원이 추진되면 △갯벌 기능 개선을 통한 생물 서식처 확보 △하구역 기능 회복을 통한 탄소중립 블루카본 가치 확대 △해양 생태관광 및 내륙호 공간 활성화를 통한 지역 주민 소득 증대가 기대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해수유통 등을 통한‘담수호 생태복원’공약을 지키기 위해서는 관련 예산확보와 임기 초반기에 환경영향평가 등을 실시해야 한다.
담수호 생태복원 사업은 장기적이고 환경친화적 관점에서 출발해야 간척사업의 폐해를 극복하고 미래세대에 희망의 바다를 물려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