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도에 따르면, 2030년까지 5년 동안 10조 9173억원을 투입해 23개 사업을 추진한다.
도는 수소 생산부터 저장, 활용까지 국내 최대 수소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 탄소 배출 전국 1위 충남을 글로벌 수소 허브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도는 이날 제7회 수소에너지 국제포럼에서 19개 기관·단체·대학·기업과 업무협약을 체결, 서해안 수사산업벨트 구축을 본격 알렸다.
협약에는 보령시, 서산시, 당진시, 태안군 등 자치단체, 충남테크노파크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수소연합, 단국대학교, 호서대학교 , 중부·서부·동서발전 등 발전 3사, 린데코리아, 롯데케미칼, 한화임팩트, 한화토탈에너지스, 현대오일뱅크, SK이노베이션, 미래앤서해에너지 등의 기업이 참여했다.
이날 협약은 서해안 수소산업 벨트 조성 관련 인프라 구축, 기업 지원, 인력 양성 등에 상호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도와 보령시·서산시·당진시·태안군은 정책·행정·기술적 지원을 하고, 충남테크노파크와 한국수소연합회,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수소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정책·기술적으로 협력·지원한다.
대학은 인력 양성과 연구개발(R&D) 추진 협력을 지원하고, 발전 3사는 석탄화력을 수소·암모니아 등 저탄소 발전 설비로 전환하는데 협력하며, 기업은 도내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도는 ‘수소경제 선도 국가 도약의 혁신 거점, 충남’을 비전으로 수소산업 기반 조성을 통해 에너지 전환, 산업 고도화에 나선다.
추진 전략은 △수요 대응을 위한 청정수소 생산 확대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생태계 조성 △친환경 수소도시 구축 △수소 전문기업 및 인력 양성 등이다.
이를 위해 도는 2030년까지 5년 동안 10조 9173억원을 투입해 23개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이를 통해 2040년까지 △수소 120만 톤 생산 △수소 혼소·전소 발전 20GW △수소도시 10개소 조성 △수소 전문 기업 200개 육성 △수소차 5만 대 보급 △수소충전소 180개소 340기 설치 등을 목표로 잡았다.
도는 당진·서산·보령·태안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당진 암모니아 부두·수소생산시설·수소발전 등을 중심으로 수소 특화단지 등 국가 공모 사업에 중점 대응할 계획이다.
연차별 수소 생산 시설을 확대 구축하고, 보령·당진·서산에 이어 태안을 충남 네 번째 수소도시로 조성할 방침이다.
4개 수소도시에는 총 1490억원을 투입, 수소 생산 시설을 확충하고, 수소 생산부터 활용까지 전주기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순차적으로 폐쇄될 석탄화력발전소 대신 수소·암모니아 발전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발전 공기업에 대한 혼소 발전도 지원한다.
도는 이와 함께 △가스터빈 시험연구센터 구축 △암모니아 수소연료전지 발전 규제자유특구 추진 △액화수소 기술 개발 전문 랩(LAP) 구축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메가 프로젝트 예비 타당성 조사 대응 추진 등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수소 인프라 구축에도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김태흠 지사는 “충남 서해안 일대는 석탄화력과 제철, 석유화학 등 고탄소 산업이 밀집해 탄소배출량 전국 1위의 오명을 안고 있다”며 “시대적인 과제인 탄소중립에 대처하고, 인공지능(AI) 시대에 따른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탈석탄과 에너지 다변화가 가장 절실한 과제인 만큼 서해안 수소산업 벨트를 적극 조성해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