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

본문영역

“위기 처한 대전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충분한 경쟁력 갖춰”

예타 철회 사태 속 활로 모색 토론회 열려…R&D 중심 팹리스 생태계 구축 가능성 확인
연구·실증 중심 ‘공공형 반도체 혁신 생태계’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입력 : 2025.11.16 12:43
  • 기자명 By. 최일 기자
▲지난 14일 LH 대전충남지역본부에서 ‘대전 나노반도체산단 어떻게 만들어낼 것인가’ 토론회가 열려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장철민 의원실 제공)
▲지난 14일 LH 대전충남지역본부에서 ‘대전 나노반도체산단 어떻게 만들어낼 것인가’ 토론회가 열려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장철민 의원실 제공)

[충청신문=대전] 최일 기자 = 위기에 처한 대전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토론의 장이 마련돼 눈길을 끌었다.

2023년 대전 유성구 교촌동 일원 528만㎡가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로 선정돼 대전시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조성을 추진했지만, KDI(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수요가 10% 정도만 확보된 것으로 인정되며 올 8월 예타 신청을 철회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런 가운데, 국회 산업통상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 주최로 지난 14일 LH 대전충남지역본부에서 ‘대전 나노반도체 산단 어떻게 만들어낼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발제자로 나선 양승훈 경남대 교수는 “수도권은 고부가가치 생산기능이 집중되며 비수도권은 단순 생산기지로 전락하고 있는 상황에 ‘R&D(연구개발)·인재·인프라’ 삼박자를 갖춘 대전은 지역 단위 산업 부흥 전략의 실험 도시가 될 수 있다”며 “단기적으론 대전을 허브로 삼고, 장기적으로는 전국적 공급망 생태계를 연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상록 SK하이닉스 부사장은 “반도체 산단은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얼마나 과감하고 혁신적인 지원을 하느냐가 성패의 관건”이라며 “KAIST(한국과학기술원)·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이 자리한 대전은 연구역량이 뛰어나고 정주 여건이 좋다. 연구개발 중심의 팹리스(Fabless, ‘Fabrication+less’의 합성어로 반도체 제품을 직접 생산하지 않고 반도체 설계를 전문적으로 하는 업체를 의미) 생태계를 구축한다면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정 부사장은 “대전은 연구 인프라와 정주 여건이 뛰어난 만큼 R&D 기반의 팹리스·장비기업 중심 산단으로 특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I(인공지능) 반도체의 새로운 물결이 열리는 만큼 새로운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사회민주당 대전시당은 이날 논평을 통해 “나노반도체 산단은 대규모 제조가 아닌 연구·실증 중심의 ‘공공형 반도체 혁신 생태계’로 나아가야 한다”며 “대전의 가장 큰 경쟁력은 KAIST와 정부출연연구기관, 지역대학이 축적해 온 연구·기술·인재 생태계다. 따라서 나노반도체 산단은 AI 반도체, 팹리스,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실증 플랫폼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기업 중심의 공급망 구조를 또 하나 만드는 방식은 더 이상 지역경제를 살리는 해법이 아니다. 나노반도체 산단은 공공적 목적을 명확히 하고, 출연연–기업–대학–지자체–시민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민주적이고 투명한 거버넌스 체계를 제도적으로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충청신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