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신문=대전] 최일 기자 = 대전이 대한민국의 과학수도로 도약하기 위해선 ‘중앙부처 중심주의’에서 탈피해 ‘지역 주도 혁신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고영주 전 대전과학산업진흥원장은 25일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에서 열린 ‘과학수도 완성과 대전의 미래성장전략’ 토론회에서 “연구개발특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중소벤처기업부,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은 교육부, 도심융합특구는 국토교통부, 탄소중립은 기후에너지환경부 등으로 나눠 중앙부처들이 지역 관련 사업을 운용하거나 개입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데, 부처 간 연계 부족과 중앙 주도 관리체계 강화로 지역혁신의 현장감과 지속적 지역 주도의 성과 관리가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중앙부처 정책과 지역혁신 균형성장 수요를 매칭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과학산업 정책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대전시는 국가 지원과 중앙부처 예산 수주 경쟁에 익숙한데, 과학산업 혁신과 지역 주도성 강화를 위해선 지방정부의 혁신 선도 의지와 기업가 정신이 중요하고, 개방형 거버넌스로의 혁신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고 전 원장은 대전 과학산업 발전을 위한 시 공무원 조직 개선 방안으로 △R&DI(Research·Development·Innovation, 연구·개발·혁신) 분야는 순환 보직에서 제외해 전문화할 것 △지역 산·학·연과 인사 교류에 나서고, 고위직을 민간에 개방할 것 등을 제안했다.
그는 또 “지역 산·학·연은 중앙에 수직 계열화돼 분산적으로 발전해왔고, 시민은 혁신의 소비자로만 인식돼 지역혁신의 핵심 주체 역할에서 배제됐다. 정당 정치는 이념화돼 과학적 합리성이 부족하다. 그러다 보니 산·학·연·관과 시민·정치 커뮤니티 간 협력해야 할 동기와 프로그램, 시스템이 미흡하다”며 “지역혁신 주체의 ‘쿼드러플 헬릭스(Quadruple Helix, 혁신 촉진을 위한 정부·산업·학계·시민사회 간 협력 모텔)’를 이뤄내야 한다”고 말했다.

고 전 원장은 이와 함께 “대기업 중심 혁신 모델은 한계에 직면했다”며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딥테크 기업,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딥테크 혁신기업 중심의 신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정부출연연구기관, 지역 대학과의 연계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역 고유의 특성과 문화, 지역의 정책과 제도가 어우러진 내생적 지역혁신체제로 진화해야 한다”며 대전 과학산업 발전을 위한 의제로 △새로운 지식을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생태계 강화 △딥테크 산업 성장을 위한 융합 실증 사업 △지역사회 문제(탄소중립, 미세먼지, 재난, 안전 귀가, 주차난, 노후 주택 등)의 과학기술적 해결 △글로벌 개방형 혁신 클러스터화 등을 제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