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

본문영역

대전 유성구 전민,구즉,관평동 핵과의 전쟁 중

한전원자력연료(주) 생산시설 증설"환경에 영향 미치지 않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입력 : 2013.07.16 19:24
  • 기자명 By. 이상문 기자

대덕연구단지 원자력연구소내 한전원자력연료(주)의 공장 증설 문제로 환경단체와 주변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5일 대전 유성구 구즉동 주민센터에서 환경영향평가서(초안) 공청회가 열렸다.(관련기사 본보 2013.05.20 1면)

이날 한전원자력연료(주) 신규부지 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서 공청회에는 200여명의 주민들이 참석해 신규부지 조성사업과 대전시에 자리 잡고 있는 핵관련 시설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나타냈다.

특히 전민동 지역 주민들은 버스 3대로 공청회장에 참석해 원자력연료 생산시설 증설에 관심이 뜨겁다는 것을 보여줬다.

환경영향평가서 발제에서 “신규부지 조성사업이 환경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도출하는 내용이 나오자, 발제가 끝난 뒤 주민측 대표자로 나온 주민들은 “한국원자력연료(주)측과 사업자측 토론자들에게 형식적이고 성의 없는 환경영향평가 공청회”라며 날카로운 질문들을 던졌다.

먼저 한 주민측 대표는 한국원자력연료(주)가 신규부지 조성사업을 진행하며 특정지역에 지역현안문제 해결과 혜택을 주는 부분에 대해 답변을 요구했다.

한국원자력연료(주) 이주노 신규사업단장은 “한국원자력연료(주)가 혜택을 줄 수도 없고 주민들이 받아서도 안 되는 것”이라고 입장을 밝히고 “그동안 세 차례 있었던 주민설명회 등에서 담당자들이 일을 쉽게 풀어가려고 지역 지원 등을 이야기하는 실수를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주민들 측은 “혜택을 요구하지도 않을 것"이라며 "혜택이 아니라 지역에 밀집해 있는 원전관련 시설과 임시저장시설에 보관하고 있는 핵폐기물을 하루 빨리 재배치해야 할 것”을 요구했다.

주민들은 “도심이 계속 확장되면서 원자력연구소, 하나로 원자료 등 핵관련 시설과 거리가 1Km정도 밖에 되지 않는데도, 방사선비상계획 구역 설정을 800m로 결정해 주민 안전에 대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 이 신규사업단장은 본인이 답변하기 어려운 이야기라며 여러 차례 답변이 어렵다는 이야기를 하자 방청석에 있던 주민들은 야유를 보냈다. 상황이 이러하자 주민들은 대전지역 핵정책과 관련해 대전시장, 한국원자력연구소장, 관련부처 장관들을 불러놓고 이야기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특히 한 주민은 “환경에 대한 이야기만 있지, 사람 생명에 대한 이야기는 없다. (사람) 생명이 중요한 것이다”라며 “만약 사업을 계속해서 추진하면 결사반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격앙된 주민들은 대전시청과 유성구청에 사업허가를 내주지 못하도록 단체행동도 불사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고, 2시간이 넘게 진행된 환경영향평가서(초안) 공청회는 결국 주민들의 행정 불신만을 야기 시켰고 더 이상 공청회는 진행되기가 어려웠다.

주민들은 한국원자력연료(주)가 자신들의 시설은 안전하다고 주장 하지만 더 큰 문제는 핵관련 시설의 확장과 핵안전에 대해 아무런 대책 없이 손을 놓고 있는 대전시와 대도시 핵관련 시설에 대해 행정편의주의로 일관하고 있는 관계당국의 태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전환경운동연합 고은아 사무처장은 “대전시와 정부당국, 원자력연구소 등은 지금이라도 주민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신뢰를 쌓아가는 한편 기존 밀집되어 있는 원자력시설에 대한 중장기적 대책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특히 염홍철 시장은 사회적 자본을 이야기 하면서 ‘신뢰’를 강조하고 있는데 주민불신이 뚜렷한 사안에 대해 정확한 입장을 표명하고 주민신뢰를 높힐 수 있는 실질적인 대응책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상문 기자 sml88@dailycc.net

저작권자 © 충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충청신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