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말하는 설왕설래는 오랜 기간 회자하여 온 행정수도 포기가 아니냐는 지역 여론을 지칭한다.
충청권 국민의힘 의원들과 원외 위원장이 23일 국회에서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 부산 이전을 강력히 규탄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해수부 논란은 단순한 정부 부처 이전이 아니라, 오랜 국민적 합의로 이뤄진 행정수도 완성의 의지를 송두리째 뒤흔든 경고와 파장의 메시지로 비유된다.
여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에서 “행정수도 완성”과 “대통령실 세종 이전”을 약속했다.
충청권 유권자들은 이 공약을 신뢰하고 대통령과 민주당을 지지했다.
실제로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당시 후보는 충청권에서 48.4%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김문수 후보보다 6.5%P 앞섰다.
총선 결과 역시 충청권 국회의원 28석 중 민주당이 21석을 차지할 만큼 충청권은 민주당의 든든한 지지 기반이었다.
그러나 당선 이후 대통령실 세종 이전은 흐지부지됐고, 해수부 부산 이전 로드맵만 속속 발표되고 있다.
충청권은 그동안 수도권 집중 해소와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해 행정수도 이전과 관련해 큰 역할을 해왔다.
충청권 민심이 이대로 외면받아도 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행정수도 완성은 충청권(특히 세종시와 대전, 충청남북도) 주민들에게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충청권은 오랜 기간 수도권 집중에 따른 지역 불균형 해소와 국토의 균형 발전을 위해 행정수도 이전과 완성에 큰 기대와 희생을 감수해 왔다.
실제로 행정수도 완성 공약은 충청권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는 핵심 이슈로 작용한 지 오래다.
대선 및 총선 때마다 이 문제는 약방의 감초격으로 대두됐고 그때마다 여야는 이를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러한 약속은 단순한 정치적 수사가 아니라, 충청권 주민들에게는 수도권과의 격차 해소, 지역 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그리고 지역의 위상과 자긍심을 높여줄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의 상징이었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최근 방송 인터뷰에서 “이번만큼 행정수도 공약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확신에 찬 약속을 들어본 적이 별로 없다”며, 충청도민의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고 밝혔다.
하지만 반복되는 약속과 지지부진한 현실 사이에서 실망과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행정수도 완성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 충청권 주민들은 정치권에 대한 신뢰를 잃고, 지역 발전에 대한 희망마저 위축될 수 있다는 작금의 여론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즉, 행정수도 완성 약속은 충청도민에게는 단순한 공약을 넘어, 지역의 미래와 자부심, 그리고 국토 균형 발전에 대한 실질적인 기대와 희망을 담고 있는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도 정치권의 약속은 번번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
해수부 이전 논란은 단순한 부처 이전 문제가 아니라, 국민적 합의와 신뢰를 송두리째 흔드는 중대한 사안이다.
정치권은 충청권 민심에 진심으로 응답해야 한다.
해수부 이전을 졸속으로 추진하거나, 행정수도 완성의 약속을 저버리는 일은 더 이상 있어서는 안 된다.
정치의 본질은 약속과 신뢰다.
그런 관점에서 새 정부는 충청권 민심에 대한 약속을 지켜야 한다.
해수부 이전을 강행한다면 이는 단순한 정책 실패가 아니라, 국민적 신뢰를 무너뜨리는 중대한 정치적 실책이다.
국민의힘 역시 충청권 발전에 대한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여야가 약속의 정치, 신뢰의 정치로 돌아가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