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지사는 지난 18일 도청 재난종합상황실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서 열린 집중호우 대처 상황 점검 영상회의에 참석했다.
회의는 이 대통령 모두발언, 기상 상황 및 전망 보고, 집중호우 대처 상황 총괄 보고, 도와 지자체 대처 상황 보고, 종합 토의 등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김태흠 지사는 “충남은 배수로 준설 등 호우 대응 사전 준비에도 불구하고 지난 16일부터 계속된 500mm 이상 집중호우로 2명의 인명 피해, 많은 시설 및 농경지 피해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이어 “여름철 집중호우 등 변화된 기상 여건 및 반복된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 몇가지 건의 드린다”며 “우수관, 하수관 등 배수시설을 포함, 강우 등 대응 기준을 획기적으로 바꾸고, 50년·100년 빈도 하천 설계 기준도 200년으로 상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충남 도내 호우 피해는 △당진 어시장, 서산·태안 전통시장 침수 △삽교천 제방 등 하천 114개소 유실 및 파손 △도로 등 공공시설 56개소 파손 △농경지 1만 2000ha 침수 △닭 5만 마리 및 양식어류 폐사·유실 △예산 ·부여 등 하우스 침수 피해 등이다.
이번 호우 상황에서 도와 시군은 2000여 명을 비상근무에 투입하고 △996세대 1747명 사전대피 △삽교천 범람 고립 주민 83명 등 597명 구조 등의 대응을 펼친 바 있다.
김 지사는 “당진, 서산, 태안 등 원도심 시장의 침수 재방 방지를 위해서는 배수시설 재정비 등 항구 복구 방안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침수됐던 수박과 멜론 등 시설하우스 작물들은 물이 빠져도 상품성이 없어 피해가 큰 만큼 중앙정부 차원에서 특단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