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실시간

본문영역

대전유성터미널 '편의시설' 부지 매각, 상권 기대감

컨벤션·호텔·병원 등 갖춘 주상복합 들어설듯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입력 : 2025.08.31 14:37
  • 기자명 By. 황천규 기자
▲ 대전유성복합터미널 건설 현장 모습.(사진=대전시 제공)
[충청신문=대전] 황천규 기자 = 내년 상반기 운영에 들어가는 대전유성복합터미널 옆 편의시설이 들어설 지원용지가 매각돼 터미널 활성화에 청신호가 켜졌다.

마트·병원·문화 및 숙박시설 등 편의시설이 들어서면 터미널 이용객이 늘어나고 상권도 살아날 것이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당초 민간개발로 터미널을 추진하다 연이어 실패하자 공영개발로 돌아섰다.

31일 대전시와 대전도시공사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유성복합터미널 첫 민간공모를 시작으로 총 4차례나 사업자를 모집했지만 무산됐다.

시는 2021년 공영개발 방식으로 전환을 결정했고, 대전도시공사가 사업을 맡아 정상화 수순에 들어갔다.

터미널 부지를 순수 여객 터미널 부지와 편의시설이 들어설 지원용지로 나눈 것이다.

시급한 터미널은 시가 공영개발하고 지원용지는 민간개발하는 방식이다.

유성복합터미널은 총사업비 449억 원을 투입해 연말 준공된다. 부지면적 1만 5000㎡, 지상 2층 3개 동 규모(연면적 3713㎡)로 건립된다.

문제는 민간개발될 지원용지 매각이었다.

대전도시공사는 그동안 세차례 매각 매각 공고를 냈다. 하지만 응찰자가 없어 조건을 완화하자 낙찰됐다. 대금은 935억원. 지난 6월 A업체와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금 5%를 냈고 잔금은 3년 이내 납부 조건이다.

부동산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지원용지 매각이 장기화 될 경우 반쪽짜리 터미널 개발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털어냈다.

A업체는 상업용지 1만 7080㎡ 부지에 컨벤션·문화시설·의료시설·숙박시설 등이 들어설 건물을 짓는다.

터미널 이용자도 늘고 동시에 시설 이용자도 많아지면서 상권 활성화 등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시설이다.

이른바 권장 시설이다. 이 시설 비율이 크면 용적률이 올라가는데 증가 용적률의 20% 이상 건립이 의무다.

업체가 수익을 위해 주택 면적을 과도하게 확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쉽게 말하면 주상복합건물을 지어 하부층에 편의시설을 넣고 상부층 주택을 분양하는 사업이다.

건폐율은 70%. 기준 용적률은 400%이지만 주택연면적 비율에 따라 650%에서 최대 1100%까지 허용했다.

주택연면적비율이 80% 이상 90% 미만이면 허용 용적률은 650% 이하다. 주택연면적비율이 50% 미만일 경우 용적률은 1100%까지 늘어난다.

한마디로 주택이 많으면 용적률이 떨어지고 적으면 용적률이 올라간다는 얘기다.

업체가 수익내기 좋은 주택을 많이 넣으려고 욕심을 내면 그만큼 용적률이 떨어지는 구조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이런 점을 감안할 때 적당한 주택면적 비율은 70~80% 미만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 용적률은 750%가 나온다. 이를 적용하면 대략 49층 건물을 올리고 저층에 편의시설을 배치한후 나머지층 주택을 분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잔금 납부기한은 3년. 그래야만 공사를 시작할 수 있어 언제 첫 삽을 뜰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진다.

저작권자 © 충청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충청신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