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와 대전연구원 주최로 6일 호텔ICC에서 열린 ‘2025 대전 정책엑스포’에서 최지민 한국지방행정연구원 5극3특 연구지원단장은 ‘초광역 행정을 위한 행정통합과 5극 3특’을 주제로 강연에 나서 “대전과 충남의 행정통합 논의는 갈등과 선택의 문제가 아닌 충청권 경쟁력과 전략적 대표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 단장은 “특자체 활성화와 행정통합이 서로를 보완하며 작동할 때 충청권은 초광역 거버넌스에서 가장 앞선 형태의 제도적 기반을 갖추게 된다”며 “이 과정에서 대전의 연구 역량과 충남의 제조·에너지 기반, 세종의 행정 기능이 단일 체계로 묶인다면 충청권은 단순한 권역 중 하나가 아니라 국가 성장의 핵심축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앙의 제도 설계가 완성된 뒤에 따라붙는 방식으론 권역의 미래를 스스로 설계할 수 없다. 충청권이 정책판의 중심에서 목소리를 내기 위해선 광역연합의 기능을 강화하면서 행정통합의 제도적 기반을 병행 구축해야 한다”며 “이러한 전략적 선택이야말로 ‘5극 3특’ 시대를 살아갈 충청권이 주도권을 확보하고, 국가 균형성장의 설계자가 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며 가장 단단한 길”이라고 역설했다.
최진혁 대전·충남행정통합민관협의체 기획분과장(충남대 명예교수)는 ‘미래지향적 행정체제 개편-5극 3특 국가균형성장축과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한 기조강연을 통해 양 지역 행정통합의 기대효과로 △대전 중심의 대도시권 성장 구현 △다중심 네트워크 지역발전 체제 구축 △대도시 주변지역의 자립적 성장 촉진 등을 꼽았다.
행사에 함께한 이장우 대전시장은 “일류 경제도시를 목표로 경쟁력을 키워온 대전은 이제 충남과의 행정통합을 통해 인구 357만명, GRDP(지역내총생산) 197조원 규모의 초광역 행정체계를 구축, 충청권 전체를 한 단계 끌어올려야 할 시점을 맞았다”며 “대전이 대한만국 과학수도이자 새로운 지방정부 모델로 도약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5극(極) 3특(特)’은 수도권·동남권·대경권·중부권·호남권 등 5개 초광역권과 제주·강원·전북 등 3개 특별자치도를 지칭하는 용어로, 이재명 정부의 지역 균형발전 정책의 핵심 전략으로 꼽힌다.
더불어민주당 정권과 국회 다수당인 민주당은 국민의힘 소속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가 주도해 온 양 지역 행정통합에 부정적 시선을 드러내고 있는 가운데, 양 시·도는 선도적인 대전·충남 행정통합이 5극 3특 전략 실현의 마중물이 될 수 있음을 부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