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신 세종시교육청 정책국장은 10일 세종시교육청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제 불확실성에 따른 세입 불안정, 신규 미래교육수요에 대한 재정부담, 인건비 등 의무 지출 경비의 증가로 지방교육재정 여건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국별 예산조정을 통한 비효율적인 예산 감축, 정책사업 정비를 통한 유사·중복사업 통·폐합, 소모성 경비와 행사성 사업을 과감히 줄여 2026년도 본예산안 편성에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고 밝혔다.
‘모두가 특별해지는 세종교육’ 비전 실현을 위해 공교육의 공공성과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예산편성의 초점을 두고, 통합재정안정화기금 등 내부 기금을 투입해 단위학교 재정 자율성을 확대하고, 학교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세입 예산은 중앙정부·자치단체 이전수입 1조 25억 원, 자체수입 22억 원, 이월금 등 기타수입 77억 원으로 구성됐다. 내부거래 전입금은 1693억 원이 반영됐다.
세출예산은 교원 인건비 상승, 미래형 교육과정 운영 등 재정 투자 확대에 초점을 맞췄다.
세종시교육청은 타 시도에 비해 교원의 낮은 연령대로 인한 인건비 상승폭 증가, 미래 핵심 인재를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등 재정 투자의 규모가 날로 커지고 있다.
학교운영비는 전년보다 60억 원 증가한 1223억 원으로 기본경비 558억 원, 학교특성경비 128억 원, 통합교부사업비 537억 원이 포함됐다.
주요 사업으로는 △기초학력 책임교육 60억 원 △AI·디지털 기반교육 41억 원 △이공계 인재 양성 ‘세종 이도 프로젝트’ 38억 원 △늘봄학교 운영비 163억 원 △학생 정신건강 및 학교 안전 104억 원 △교육복지사업 962억 원 등이 반영됐다.
또 학교지원본부 예산 409억 원, 학교 증·개축과 환경개선 등 시설투자비 969억 원을 편성했다.
2026년 1월 활동을 시작하는 세종시교육청평생교육원에 25억 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5-1 생활권 합강유·초·중학교 신증설비 등 373억 원, 학교 내·외부 환경개선사업비 263억 원, 복합업무지원센터 시설비 229억 원, 세종학생해양수련원 증축비 104억 원을 편성했다.
박 국장은 "보통교부금 보정액 추가 확보와 강도 높은 지출 구조조정으로 재정 효율성을 높이겠다"며 "시민의 세금이 헛되이 쓰이지 않도록 투명하고 책임 있는 예산 집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